교수학습개발센터
HOME교수학습개발센터학습지원체계안내

학습지원 체계안내

학습지원 프로그램 관리 체계
  • SU 학습법 프로그램 학습의 전략을 익혀 목표지향적이고 전략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역량강화 분야 중 학습전략능력이 증진될 수 있음. 또한 자율적인 참여를 통해 자신의 학습 습관을 되돌아보고 점검할 수 있어 초인지 과정을 통한 자기주도적 역량이 함양될 수 있음
  • SU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 전공학습 부진자 및 기초학습부진자들의 기초학업능력 및 학업적응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과 학습 전략능력 및 전공학업 능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상별 세분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역량이 증진될 수 있음
  • SU 학습지원 프로그램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되돌아보며 학습에 대한 자기성찰을 도모함으로 학업적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, 학습전략과 목표를 설정함으로 학습전략능력이 강화될 수 있음
  • SU 학습관리 프로그램 학습을 총제적으로 관리하고 학습 결과의 향상 정도, 학습 유형, 강약점 등을 알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종합적으로 수집·정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, 이를 통해 자율적인 참여와 자기관리역량을 함께 신장할 수 있음
  • 학습지원프로그램 관리 및 운영체계
학습지원 프로그램 환류 체계
  • 대학에서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학습역량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사전조사(Assessment)-계획(Plan)-실행(Do)-점검 및 분석(Check)-환류(Act)의 체계적 절차에 의해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개선·운영하고 있음
  • 대학에서는 시행하는 모든 학습역량 프로그램은 수요자 만족도 조사와 개선을 위한 사후요구분석 등을 통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차기 프로그램 개선에 반영하여 운용하고 있음
학습지원 프로그램 환류 체계
구분 체계 세부 내용
Assessment 사전조사 ⦁ 실태분석조사: 학기초 수요조사, 학부교육실태조사(K-NSSE), 신입생실태조사 ⦁ 역량분석조사: 핵심역량진단조사, 학습진단조사(MLST) ⦁ 대학정책분석: 교육종합만족도조사, ACE+사업계획서 및 중장기발전계획 교육전략분석
Plan 요구분석/
계획수립
⦁ 사전조사 결과와 프로그램 개선사항을 반영하여 학습역량별 프로그램, 학생 맞춤형 프로그램, 핵심역량 기반 프로그램 등에 대한 계획 수립
Do 프로그램 실행 ⦁ 학습역량별 프로그램 운영 ☞ 학업적응능력, 학습전략능력, 기초학습능력, 전공학업능력, 자기주도학습능력 ⦁ 맞춤형 학습역량 강화프로그램 운영 ☞ 학습부진학생, 외국학생, 장애학생, 전과생, 편입생, 새터민 등 ⦁ 단계별 성장에 기초한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☞ Step-up → Jump-up / SUccess up Camp → 각종 공모 / 프로젝트 등 ⦁ 학생 간 협동학습을 적용한 프로그램 운영 ☞ 멘토링, 학습공동체, 학생연구모임, 팀프로젝트 공모전, MVP챌린지 등
Check 점검 및 분석 ⦁ 프로그램별 개선 설문조사, 만족도조사 및 효과성조사, 설문 및 만족도 조사결과 분석 ⦁ 프로그램별 성과평가회 운영, 결과보고서 및 종합(성과분석)보고서 작성 ☞ 개선사항 및 문제점 도출
Act 환류 ⦁ 운영위원회를 통한 성과 및 개선사항 논의: 내부차원 개선안 마련 ⦁ 비교과통합실무위원회, 비교과통합운영위원회를 통한 성과 및 반영사항 심의 및 결의 ⦁ 교육혁신원 운영위원회를 통한 이행계획보고 및 개선사항 반영을 통한 프로그램 개선